반려묘가 아픈 모습을 보는 것만큼 마음 아픈 일은 없습니다. 고양이는 본능적으로 아픈 기색을 숨기려 하기 때문에, 집사가 평소보다 더 세심하게 관찰해야 합니다. 고양이가 평소와 다른 증상을 보이거나 응급상황을 맞딱뜨렸을 때는 침착하게 관찰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오늘은 고양이의 주요 질병 증상과 응급처치 방법, 그리고 언제 병원에 가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즉시 병원에 가야 하는 응급상황
다음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동물병원으로 향해야 합니다:
호흡 곤란
- 입을 벌리고 헐떡거림
- 복부 호흡 (배가 크게 오르락내리락)
- 혀나 잇몸이 파랗게 변함
의식 잃음 또는 경련
- 갑작스러운 의식 잃음
- 몸을 떨거나 경련 증상
- 반응이 없거나 극도로 무기력함
심한 외상
- 교통사고나 높은 곳에서 떨어짐
- 눈에 보이는 골절이나 출혈
- 복부 팽창 (내출혈 의심)
🤢 소화기 증상별 대처법
구토
일반적인 구토 (1-2회)
- 12-24시간 금식 후 소량의 물부터 시작
- 이후 소화하기 쉬운 음식을 소량씩 급여
- 털뭉치 구토는 정상적이지만 빈도가 잦으면 상담 필요
지속적인 구토 (하루 3회 이상)
- 즉시 수의사 진료 필요
- 탈수 방지를 위해 물 섭취 관찰
- 구토물의 색깔과 내용물 확인하여 병원에 알려주기
설사
가벼운 설사
- 24시간 금식 후 소화하기 쉬운 음식 급여
- 충분한 수분 공급 (전해질 용액 활용)
- 스트레스 요인 제거
혈변이나 지속적인 설사
- 즉시 병원 방문
- 변 샘플을 가져가서 검사 받기
- 탈수 증상 관찰 (잇몸 색깔, 피부 탄력 확인)
🌡️ 발열 및 전신 증상
발열 (정상 체온: 38-39.2°C)
집에서 할 수 있는 응급처치
- 시원한 곳으로 이동
- 젖은 수건으로 발가락, 귀, 복부를 가볍게 닦아주기
- 충분한 수분 공급
- 체온이 40°C 이상이면 즉시 병원 방문
식욕부진
1-2일 정도의 식욕부진
- 평소 좋아하던 간식이나 습식 사료로 유도
- 사료를 살짝 데워서 향을 강하게 만들기
- 스트레스 요인 확인 및 제거
3일 이상 지속되는 식욕부진
- 즉시 병원 방문 (특히 비만 고양이는 더 위험)
- 강제급식은 피하고 전문의 상담
- 혈액검사로 간 기능 확인 필요
👁️ 눈과 코 증상
결막염 및 눈곱
가벼운 증상
- 따뜻한 물로 적신 거즈로 눈곱 제거
- 하루 2-3회 생리식염수로 세척
- 눈을 비비지 못하도록 주의
심한 증상 (고름, 부종, 각막 손상)
- 절대 임의로 안약 사용 금지
- 즉시 병원에서 정확한 진단 받기
- 다른 고양이에게 전염될 수 있으므로 격리
콧물 및 재채기
가벼운 감기 증상
- 실내 습도 유지 (40-60%)
- 코 주변을 따뜻한 물로 깨끗이 닦아주기
- 충분한 휴식과 영양 공급
🦷 구강 및 치아 문제
구내염
초기 증상 (입 냄새, 침 흘림)
- 부드러운 습식 사료로 변경
- 구강 전용 세정제 사용
- 정기적인 치과 검진 예약
심한 구내염 (식사 거부, 혈액 분비)
- 즉시 병원 치료 필요
- 항생제나 소염제 치료 필요
- 심한 경우 발치 수술 고려
🏠 집에서 관리할 때 주의사항
약물 투여 시 주의점
- 사람용 약물 절대 금지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등은 치명적)
- 수의사 처방약만 정확한 용량으로 투여
- 약물 투여 후 부작용 관찰
환경 관리
- 조용하고 따뜻한 공간 제공
- 충분한 수분 공급 (분수나 여러 개의 물그릇 활용)
- 스트레스 최소화 (새로운 환경 변화 피하기)
영양 관리
- 소화하기 쉬운 음식 (닭가슴살, 쌀죽 등)
- 소량씩 자주 급여
- 영양제는 수의사와 상담 후 급여
🏥 병원 방문 전 준비사항
증상 기록하기
- 언제부터 증상이 시작되었는지
- 증상의 빈도와 정도
- 최근 변화된 환경이나 음식
- 다른 동물과의 접촉 여부
응급상황 대비
- 24시간 응급 동물병원 연락처 저장
- 이동용 캐리어 항상 준비
- 고양이 건강수첩 및 예방접종 기록 보관
💡 예방이 최선의 치료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예방접종, 그리고 평소 꼼꼼한 관찰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고양이의 작은 변화도 놓치지 않는 세심한 집사가 되어 우리 반려묘의 건강을 지켜주세요. 또한 이 글의 내용은 응급처치 가이드일 뿐, 전문 수의사의 진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의심스러운 증상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동물병원에 상담받으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다음은 반려인들이 궁금해하는 고양이가 아플 때 증상별 대처방법에 대한 질문과 답변입니다.
출처: 내가 바로 홈닥터 고양이편, 뜰북 | 우리 고양이, 이럴 땐 어쩌죠, RH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