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우리집 막내

고양이의 특징과 감각 이해하기

사람과 고양이는 같은 포유류이므로 기본적인 신체 구조는 같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는 사람과 다른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과학 논문들을 통해 사자, 호랑이 등 고양이과 야생동물의 DNA가 집고양이의 DNA와 95퍼센트 일치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고양이의 감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양이과 동물에 대한 일반지식을 갖추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지금부터 고양이의 특징과 감각에 대해 알아봅니다.

고양이의 특징

고양이의 감각: 귀

사람은 듣지 못하는 초음파를 고양이는 들을 수 있습니다. 사람의 귀가 2만 헤르츠까지 들을 수 있는 것에 비해 고양이의 귀는 40~6만 5천 헤르츠의 초음파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보다 2옥타브 높은 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사냥감의 울음소리, 바스락 거리는 소리를 모두 커버합니다. 또한 180도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든 소리의 방향을 포착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큰 소리에 극도로 민감합니다. 이것은 인간의 10배 정도이며 그래서 시끄러운 환경을 싫어합니다. 고양이는 불꽃놀이처럼 요란한 소리를 들으면 불안해합니다.

고양이의 눈

고양이에게는 색채 감각이 있습니다. 하지만 야간 시력만큼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크고 동그란 눈동자가 있는 고양이 눈은 어두워지면 빛나기 시작합니다. 이것은 아주 적은 빛으로도 잘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고양이의 망막에서는 25:1의 비율로 간상체추상체보다 많습니다. 어두운 곳에서는 동공이 크게 열리고 밝은 곳에서는 세로로 가늘게 축소됩니다. 강한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고양이의 코

고양이의 후각은 개만큼은 아니지만 인간보다 휠씬 예민합니다. 냄새를 포착하는 비강 내 감각막이 인간에 비해 5배나 큽니다. 때문에 냄새를 통해 서로를 알아보고 사냥감을 쫓는데도 이용합니다. 고양이는 취선에서 나오는 냄새를 묻히거나 배설물을 남기며 자신의 영역을 표시합니다. 또한 냄새로 성별이나 나이 등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그 냄새가 새로운 것인지 아닌지도 알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이빨

크고 뾰족한 송곳니는 잡은 사냥감의 숨통을 끊을 때 사용합니다. 어금니도 고기를 잘 찢기 위해 날카롭고 뾰족한 모양입니다. 고양이는 삼킬 수 있는 크기로 찢어서 씹지 않고 통째로 삼킵니다.

고양이의 혀

고양이의 까칠까칠한 혀는 먹이를 먹을 때 흘리지 않고 먹을 수 있게 해 줍니다. 또한, 몸을 핥을 때에는 빗의 역할을 하여 털을 다듬거나 냄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수염

고양이의 수염은 털이 피부에 깊숙이 박혀 변형된 것입니다. 촉각 역할을 하며 주위의 상황을 감지합니다. 수염은 어둠 속에서 길을 찾고, 가까워서 초점을 잡을 수 없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좁은 곳을 빠져나갈 때 수염이 닿는지, 닿지 않는지로 통과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합니다.

고양이의 발

고양이의 발바닥은 볼록하고 부드러운 패드가 있습니다. 고양이는 소리를 내지 않고 걸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냥감에게 들키지 않고 은밀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양이의 매우 발달된 근육과 튼튼한 뼈, 유연한 관절이 균형을 이루어 놀라운 점프력과 순발력을 발휘합니다.

고양이의 발톱

고양이의 발톱은 자유롭게 나왔다가 들어갑니다. 평소에는 발가락 사이에 감추고 있지만 위급한 상황이 닥쳤을 때는 큰 무기가 됩니다. 고양이의 발톱은 여러 겹으로 되어 있습니다. 고양이가 발톱을 가는 것은 가장 표면에 있는 각질화된 발톱을 벗겨내는 것입니다.

고양이의 꼬리

뛰어오르거나 급히 자세를 바꿀 때 꼬리를 사용합니다. 또한, 꼬리의 움직임으로 고양이의 기분도 알 수 있습니다. 고양이가 어리광을 부릴 때는 꼬리를 세워서 사람의 다리 근처로 다가옵니다. 무서울 때는 꼬리를 다리 사이에 넣습니다. 이처럼 고양이의 특징과 감각을 이해하면 반려인과 더 깊은 관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출처: The Cat Encyclopedia, DK | 고양이가 좋아하는 모든 것, 보누스 | 내가 바로 홈닥터, 뜰북

Exit mobile version